ㄹ세
只用于體詞謂詞形和“아니다”。表示肯定的語(yǔ)氣。如:
우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일세.我們是學(xué)韓國(guó)語(yǔ)的學(xué)生。
그런것이 아닐세. 不是那樣的東西(不是那么回事)。
ㄹ래(을래)
前面不能加時(shí)制詞尾“았(었,였)”、“겠”。表示意圖。主體是第一人稱(疑問(wèn)句中也可以是第二人稱)??捎米麝愂鍪胶鸵蓡?wèn)式。
“넌 영화구경 안갈래?””응, 나도 갈래.”“你不去看電影?”“嗯,我也去?!?BR> 나도 소설책을 읽을래. 我也要看小說(shuō)。
나도 시인이 될래. 我也要當(dāng)詩(shī)人。
ㅂ세(읍세)
用于口語(yǔ),表示共動(dòng)式。如:
우리는 이 일을 마저 다 하고 갑세. 我們把這個(gè)活兒也都干完再走吧。
노라
只用于動(dòng)詞。表示莊嚴(yán)宣布自己的行動(dòng),帶有感嘆語(yǔ)氣。常用于詩(shī)歌中。如:
끝없는 행복감을 안고 나는 조국의 품안에 다시 돌아왔노라.
我懷著無(wú)限幸福的心情,重新回到了祖國(guó)的懷抱。
也可用于引用句中。如:
왕선생은 내일 남경에 가겠노라고 했다. 王先生說(shuō)明天要去南京。
단다, ㄴ단다(는단다), 란다
連接法與“다, ㄴ다(는다)”同,體詞謂詞形及“아니다”用“란다”。表示以強(qiáng)調(diào)的語(yǔ)氣肯定某一事實(shí)。如:
공원의 꽃을 꺾어서는 안된단다. 不能折公園里的花。
사람을 개조하기란 어려운 일이란다.
改造人是困難的,但也不是做不到。
ㄹ는지(을는지)
前面不能加“겠”。表示推測(cè)中帶有疑問(wèn),有時(shí)有猶豫不決的色彩。后面常常接“모르겠다”。如:
그가 내일은 올는지?(올는지 모르겠다.)
他明天會(huì)不會(huì)來(lái)呢?
내일은 비가 올는지?(올는지 모르겠다.)
明天(不知)會(huì)不會(huì)下雨?
복숭아꽃이 피었을는지?(피었을는지 모르겠다.)
(不知)桃花開(kāi)了沒(méi)有?
只用于體詞謂詞形和“아니다”。表示肯定的語(yǔ)氣。如:
우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일세.我們是學(xué)韓國(guó)語(yǔ)的學(xué)生。
그런것이 아닐세. 不是那樣的東西(不是那么回事)。
ㄹ래(을래)
前面不能加時(shí)制詞尾“았(었,였)”、“겠”。表示意圖。主體是第一人稱(疑問(wèn)句中也可以是第二人稱)??捎米麝愂鍪胶鸵蓡?wèn)式。
“넌 영화구경 안갈래?””응, 나도 갈래.”“你不去看電影?”“嗯,我也去?!?BR> 나도 소설책을 읽을래. 我也要看小說(shuō)。
나도 시인이 될래. 我也要當(dāng)詩(shī)人。
ㅂ세(읍세)
用于口語(yǔ),表示共動(dòng)式。如:
우리는 이 일을 마저 다 하고 갑세. 我們把這個(gè)活兒也都干完再走吧。
노라
只用于動(dòng)詞。表示莊嚴(yán)宣布自己的行動(dòng),帶有感嘆語(yǔ)氣。常用于詩(shī)歌中。如:
끝없는 행복감을 안고 나는 조국의 품안에 다시 돌아왔노라.
我懷著無(wú)限幸福的心情,重新回到了祖國(guó)的懷抱。
也可用于引用句中。如:
왕선생은 내일 남경에 가겠노라고 했다. 王先生說(shuō)明天要去南京。
단다, ㄴ단다(는단다), 란다
連接法與“다, ㄴ다(는다)”同,體詞謂詞形及“아니다”用“란다”。表示以強(qiáng)調(diào)的語(yǔ)氣肯定某一事實(shí)。如:
공원의 꽃을 꺾어서는 안된단다. 不能折公園里的花。
사람을 개조하기란 어려운 일이란다.
改造人是困難的,但也不是做不到。
ㄹ는지(을는지)
前面不能加“겠”。表示推測(cè)中帶有疑問(wèn),有時(shí)有猶豫不決的色彩。后面常常接“모르겠다”。如:
그가 내일은 올는지?(올는지 모르겠다.)
他明天會(huì)不會(huì)來(lái)呢?
내일은 비가 올는지?(올는지 모르겠다.)
明天(不知)會(huì)不會(huì)下雨?
복숭아꽃이 피었을는지?(피었을는지 모르겠다.)
(不知)桃花開(kāi)了沒(méi)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