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자,(으)면서和 다가(다)這幾個(gè)中級(jí)常見的表示時(shí)間連貫的韓語(yǔ)語(yǔ)法進(jìn)行總結(jié),希望對(duì)大家有所幫助~~
고서
前面不能加時(shí)制詞尾。
1)主要附于動(dòng)詞的末尾,表示兩動(dòng)作一先一后,相當(dāng)于漢語(yǔ)的“…了之后…”。如:
나는 학교의 일을 끝내고서 돌아왔다. 我干完了學(xué)校的事后回來了。
그 책을 다 읽고서 잤다. 讀完了那本書才睡覺。
2)表示前一動(dòng)作是后一動(dòng)作的方式、樣態(tài)。相當(dāng)于漢語(yǔ)的“…著…”。如:
그들은 존경과 신뢰감을 품고서 선생님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他們懷著尊敬和信任的心情,望著老師。
아들은 책가방을 메고서 학교로 갔다. 兒子背著書包去學(xué)校了。
3)表示具有先后關(guān)系的對(duì)立。相當(dāng)于漢語(yǔ)的“…了,可是(卻)…”。這時(shí),它后面還可以加“도”,以加強(qiáng)語(yǔ)氣。如:
자기가 말하고서도 말하지 않았다니 무슨 태도인가? 自己說了,卻說沒說,這是什么態(tài)度?
4)表示兩事實(shí)一先一后發(fā)生,該兩事實(shí)之間含有一種因果關(guān)系,這時(shí),能與“아서(어서,여서)”通用。如:
그 애는 위생에 주의하지 않고 음식을 되는대로 먹고서 병에 걸렸다. 那孩子不注意衛(wèi)生,亂吃東西,得病了。
저렇게 똑똑하고서 무엇을 못할라구. 那么聰明,有什么事不能干。
자
前面不加時(shí)制詞尾。
1)用于動(dòng)詞(形容詞只有少部分才能用),表示甲事實(shí)剛一發(fā)生,接著就發(fā)生乙事實(shí)。相當(dāng)于漢語(yǔ)的“一…就…”。如:
비가 멎자 아이들 밖으로 놀러갔다. 雨一停,小孩子們就到外頭玩去了。
동녘이 환하자 그는 길을 떠났다. 東方一亮,他就上路了。
*為了更強(qiáng)調(diào)乙事實(shí)緊接著甲事實(shí)發(fā)生,還可用“자마자”來表示,相當(dāng)于漢語(yǔ)的“一…就很快…”。只用于動(dòng)詞。如:
비상소집나팔이 나자마자 우리는 벌떡 일어났다. 緊急集合號(hào)一響,我們都一下子站了起來。
*“자”還可和“부터”連用,構(gòu)成“자부터”,表示“一…就首先…”的意思。如:
그는 집에 들어오자부터 물을 마시기 시작했다. 他一進(jìn)家就首先開始喝水。
2)用于體詞謂詞形后,表示同時(shí)具備雙重性或雙重身分,相當(dāng)于漢語(yǔ)的“既是…又(也是)…”。如:
그는 내 벗이자 동창생이다. 他是我的朋友,也是同學(xué)。
그는 자동차 운전수이자 수리공이다. 他既是汽車司機(jī),又是修理工。
우리 나라의 낮12시자 그 나라의 밤12시다. 我國(guó)白天十二點(diǎn)鐘時(shí),那個(gè)國(guó)家正是夜晚十二點(diǎn)鐘.
(으)면서
主要用于動(dòng)詞。前面不加時(shí)制詞尾。
1)表示甲乙兩事實(shí)同時(shí)并進(jìn),有時(shí)含有前一動(dòng)作是后一動(dòng)作的方式的意思。相當(dāng)于漢語(yǔ)的“一面…一面…”、“邊…邊…”、“…的同時(shí)(的時(shí)候)…”。如:
바람이 불면서 비가 온다. 一面刮風(fēng),一面下雨。
그는 교장이면서 3학년 담임선생이다. 他是校長(zhǎng),同時(shí)又是三年級(jí)班主任。
2)表示“從…起也就…”。這時(shí)常用“면서부터”這一形式。如:
봄이 오면서부터 날씨가 점점 따뜻하여진다. 自入春起,天氣也就漸漸暖和起來。
3)表示與某一事實(shí)存在的同時(shí),卻存在不相一致的事實(shí)(這兩相對(duì)立的事實(shí)都與同一主體相聯(lián)系)。相當(dāng)于漢語(yǔ)的“同時(shí)卻又(還)…”,表示這一意義時(shí),“면서”后常加“도”,構(gòu)成“면서도”,以加強(qiáng)語(yǔ)氣。如:
남에게 엄격히 요구하면서도 자기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對(duì)別人要求很嚴(yán),對(duì)自己卻不那樣要求。
있으면서도 없다고 한다. 明明有,卻說沒有。
다가(다)
“다가”可縮略成“다”。
1)表示一動(dòng)作、狀態(tài)在發(fā)生或進(jìn)行的過程中,中斷而轉(zhuǎn)向另一動(dòng)作或狀態(tài)。
비가 오다가(다) 눈이 온다. 下了一會(huì)兒雨,又下起了雪。
일을 시작했으면 끝까지 해야지,하다가(다) 그만두면 되느냐? 事情開始了就要干到底,干一會(huì)兒不干了,行嗎?
有時(shí),為了加強(qiáng)語(yǔ)氣,“다가”后面還可加添意詞尾“는”和“도”。這時(shí)是強(qiáng)調(diào)兩種動(dòng)作交替反復(fù)進(jìn)行。如:
그는 웃다가는 울고 울다가는 웃는다. 他笑了哭,哭了笑。
신문을 보다가도 라디오를 듣군한다. 他老是看會(huì)兒報(bào)紙又聽收音機(jī)。
2)“다가(다)”前加過去時(shí)制詞尾“았(었,였)”,表示甲動(dòng)作、狀態(tài)完成后所形成的情況中斷而轉(zhuǎn)入另一動(dòng)作、狀態(tài)。
가다가 돌아온다.(走著走著又返回來了)
갔다가 돌아온다.(到了那兒又返回來)
그는 잠시 머리를 숙었다가(다) 다시 들었다. 他低了一會(huì)兒頭又抬了起來。
날씨가 흐리었다가(다) 또 개었다. 天氣陰了一陣子,又晴了。
3)表示甲動(dòng)作、狀態(tài)在發(fā)生或進(jìn)行的過程中,遭遇到某事,由“다가(다)”連接的兩個(gè)謂語(yǔ)都得用過去時(shí)。如:
거리에 갔다오다가(다) 비를 맞았다. 上街回來的路上,淋了雨。
그는 일을 하다가(다) 손을 다쳤다. 他干著干著活兒,弄傷了手。
4)表示假設(shè)前一事實(shí)存在或繼續(xù)下去,則會(huì)招致相反或不良的后果。這時(shí),“다가”后一般要加“는”。如:
깨끗하지 않은 음식을 먹었다가는 큰일 난다. 吃了不干凈的東西,會(huì)出事。
더 길었다가는 몸에 맞지 않을 번했다. 再長(zhǎng)些,就不合身了。
5)表示兩相對(duì)照的動(dòng)作、狀態(tài)反復(fù)交替出現(xiàn)。這時(shí)用“…았(었,였)다가(다)…았(었,였)다가(다) 하다”這一形式。兩個(gè)動(dòng)作、狀態(tài)用反義詞來表示。如:
버스가 왔다갔다 한다. 公共汽車來來去去。
열이 올랐다내렸다 한다. 體溫忽高忽低。
고서
前面不能加時(shí)制詞尾。
1)主要附于動(dòng)詞的末尾,表示兩動(dòng)作一先一后,相當(dāng)于漢語(yǔ)的“…了之后…”。如:
나는 학교의 일을 끝내고서 돌아왔다. 我干完了學(xué)校的事后回來了。
그 책을 다 읽고서 잤다. 讀完了那本書才睡覺。
2)表示前一動(dòng)作是后一動(dòng)作的方式、樣態(tài)。相當(dāng)于漢語(yǔ)的“…著…”。如:
그들은 존경과 신뢰감을 품고서 선생님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他們懷著尊敬和信任的心情,望著老師。
아들은 책가방을 메고서 학교로 갔다. 兒子背著書包去學(xué)校了。
3)表示具有先后關(guān)系的對(duì)立。相當(dāng)于漢語(yǔ)的“…了,可是(卻)…”。這時(shí),它后面還可以加“도”,以加強(qiáng)語(yǔ)氣。如:
자기가 말하고서도 말하지 않았다니 무슨 태도인가? 自己說了,卻說沒說,這是什么態(tài)度?
4)表示兩事實(shí)一先一后發(fā)生,該兩事實(shí)之間含有一種因果關(guān)系,這時(shí),能與“아서(어서,여서)”通用。如:
그 애는 위생에 주의하지 않고 음식을 되는대로 먹고서 병에 걸렸다. 那孩子不注意衛(wèi)生,亂吃東西,得病了。
저렇게 똑똑하고서 무엇을 못할라구. 那么聰明,有什么事不能干。
자
前面不加時(shí)制詞尾。
1)用于動(dòng)詞(形容詞只有少部分才能用),表示甲事實(shí)剛一發(fā)生,接著就發(fā)生乙事實(shí)。相當(dāng)于漢語(yǔ)的“一…就…”。如:
비가 멎자 아이들 밖으로 놀러갔다. 雨一停,小孩子們就到外頭玩去了。
동녘이 환하자 그는 길을 떠났다. 東方一亮,他就上路了。
*為了更強(qiáng)調(diào)乙事實(shí)緊接著甲事實(shí)發(fā)生,還可用“자마자”來表示,相當(dāng)于漢語(yǔ)的“一…就很快…”。只用于動(dòng)詞。如:
비상소집나팔이 나자마자 우리는 벌떡 일어났다. 緊急集合號(hào)一響,我們都一下子站了起來。
*“자”還可和“부터”連用,構(gòu)成“자부터”,表示“一…就首先…”的意思。如:
그는 집에 들어오자부터 물을 마시기 시작했다. 他一進(jìn)家就首先開始喝水。
2)用于體詞謂詞形后,表示同時(shí)具備雙重性或雙重身分,相當(dāng)于漢語(yǔ)的“既是…又(也是)…”。如:
그는 내 벗이자 동창생이다. 他是我的朋友,也是同學(xué)。
그는 자동차 운전수이자 수리공이다. 他既是汽車司機(jī),又是修理工。
우리 나라의 낮12시자 그 나라의 밤12시다. 我國(guó)白天十二點(diǎn)鐘時(shí),那個(gè)國(guó)家正是夜晚十二點(diǎn)鐘.
(으)면서
主要用于動(dòng)詞。前面不加時(shí)制詞尾。
1)表示甲乙兩事實(shí)同時(shí)并進(jìn),有時(shí)含有前一動(dòng)作是后一動(dòng)作的方式的意思。相當(dāng)于漢語(yǔ)的“一面…一面…”、“邊…邊…”、“…的同時(shí)(的時(shí)候)…”。如:
바람이 불면서 비가 온다. 一面刮風(fēng),一面下雨。
그는 교장이면서 3학년 담임선생이다. 他是校長(zhǎng),同時(shí)又是三年級(jí)班主任。
2)表示“從…起也就…”。這時(shí)常用“면서부터”這一形式。如:
봄이 오면서부터 날씨가 점점 따뜻하여진다. 自入春起,天氣也就漸漸暖和起來。
3)表示與某一事實(shí)存在的同時(shí),卻存在不相一致的事實(shí)(這兩相對(duì)立的事實(shí)都與同一主體相聯(lián)系)。相當(dāng)于漢語(yǔ)的“同時(shí)卻又(還)…”,表示這一意義時(shí),“면서”后常加“도”,構(gòu)成“면서도”,以加強(qiáng)語(yǔ)氣。如:
남에게 엄격히 요구하면서도 자기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對(duì)別人要求很嚴(yán),對(duì)自己卻不那樣要求。
있으면서도 없다고 한다. 明明有,卻說沒有。
다가(다)
“다가”可縮略成“다”。
1)表示一動(dòng)作、狀態(tài)在發(fā)生或進(jìn)行的過程中,中斷而轉(zhuǎn)向另一動(dòng)作或狀態(tài)。
비가 오다가(다) 눈이 온다. 下了一會(huì)兒雨,又下起了雪。
일을 시작했으면 끝까지 해야지,하다가(다) 그만두면 되느냐? 事情開始了就要干到底,干一會(huì)兒不干了,行嗎?
有時(shí),為了加強(qiáng)語(yǔ)氣,“다가”后面還可加添意詞尾“는”和“도”。這時(shí)是強(qiáng)調(diào)兩種動(dòng)作交替反復(fù)進(jìn)行。如:
그는 웃다가는 울고 울다가는 웃는다. 他笑了哭,哭了笑。
신문을 보다가도 라디오를 듣군한다. 他老是看會(huì)兒報(bào)紙又聽收音機(jī)。
2)“다가(다)”前加過去時(shí)制詞尾“았(었,였)”,表示甲動(dòng)作、狀態(tài)完成后所形成的情況中斷而轉(zhuǎn)入另一動(dòng)作、狀態(tài)。
가다가 돌아온다.(走著走著又返回來了)
갔다가 돌아온다.(到了那兒又返回來)
그는 잠시 머리를 숙었다가(다) 다시 들었다. 他低了一會(huì)兒頭又抬了起來。
날씨가 흐리었다가(다) 또 개었다. 天氣陰了一陣子,又晴了。
3)表示甲動(dòng)作、狀態(tài)在發(fā)生或進(jìn)行的過程中,遭遇到某事,由“다가(다)”連接的兩個(gè)謂語(yǔ)都得用過去時(shí)。如:
거리에 갔다오다가(다) 비를 맞았다. 上街回來的路上,淋了雨。
그는 일을 하다가(다) 손을 다쳤다. 他干著干著活兒,弄傷了手。
4)表示假設(shè)前一事實(shí)存在或繼續(xù)下去,則會(huì)招致相反或不良的后果。這時(shí),“다가”后一般要加“는”。如:
깨끗하지 않은 음식을 먹었다가는 큰일 난다. 吃了不干凈的東西,會(huì)出事。
더 길었다가는 몸에 맞지 않을 번했다. 再長(zhǎng)些,就不合身了。
5)表示兩相對(duì)照的動(dòng)作、狀態(tài)反復(fù)交替出現(xiàn)。這時(shí)用“…았(었,였)다가(다)…았(었,였)다가(다) 하다”這一形式。兩個(gè)動(dòng)作、狀態(tài)用反義詞來表示。如:
버스가 왔다갔다 한다. 公共汽車來來去去。
열이 올랐다내렸다 한다. 體溫忽高忽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