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과 계절과 날씨
수업목적:
1.사상목적:계절과 날씨에 관한 회화를 통해 한국언어 문화를 체험시킨다
2.지식목적:계절과 날씨에 상관된 단어와 문법을 장악하게 하는 것
3.능력목적:한국어로 계절과 날씨에 대해 표현할수 있게 하는 것
수업중점:문법
수업난점:“이/가” 와 “은/는”구별
수업준비:
수업도구:교과서
수업시간:6
수업과정:
봄이 되면 위해의 날씨가 어때요?
여러분은 무슨 계절을 제일 좋아해요?
1. 단어
1).개나리꽃: 진달래꽃/ 벚꽃/ 장미꽃/ 연꽃/ 살구꽃/ 국화/ 무궁화/ 카네이션/ 튤립/--이(가) 피다
2).계절: 봄 (따뜻하다)/ 여름 (무덥다/ 덥다) / 가을 (선선하다/ 서늘하다/ 시원하다) / 겨울(춥다/ 눈사람을 만들다)
3).놀이: 놀다/게임
4).눈: 눈이 오다/ 비가 오다.
5).돌아가다: 回去/ 去世的敬語。/돌아오다.
6).창밖: 창문밖
7).푸르다: 푸른 색
8).하와이
9).아름답다: 아름다워요/ 곱다/ 고와요.(고운소녀)/ 예쁘다/ 예뻐요.
10).하늘: 천/ 천지(天池)/ 천사/ 땅/ 지/ 천지(天地)
보충단어:
1).가깝다: 가까워요./ 멀다
2).관광화사: 旅行社,觀光會(huì)社。/ 여행사
3).기후: 날씨/기온
4).내장산: 지리산/ 한라산
5).단풍: 丹楓。단풍이 들다(楓葉紅了)
6).대만: 해만(海灣)
7).대학원생: 재학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8).돕다: 도와 주세요.
9).뜨겁다: 물이 뜨겁다
10).설렁탕: 삼계탕
11).쉽다: 어렵다/ 쉬다
12).약속: 데이트
13).인형: 원숭이 인형/ 곰인형/ 토끼인형
14).가볍다: 무겁다/ 어깨가 무겁다(肩上的擔(dān)子重)/ 입이 가볍다(長(zhǎng)舌)
15).기분이 좋다: 기분이 나쁘다
16).높다: 낮다(低)/ 낮(白天)
17).담배를 피우다: 꽃이 피다/ 담배를 끊다(戒煙)
18).똑똑하다: [똑또카다]/ 총명하다
19).바람이 불다: 바람이 세다
20)박수: 박수를 치다
21).차갑다: =차다/ 얼음이 차갑다(차다)/ 눈초리가 차갑다/ 방바닥이 차다./ 물이 차다/ 날씨가 차다/찬물—더운물
음식이 식다(涼)/ 열기가 식다(熱氣減退)/ 애정이 식다(愛情冷卻)
22).키가 크다: 키가 작다
23).지하철역: [지하철력]
2.발음:
한국의 [한구게] 좋아요 [조아요]
벚꽃놀이[벋꼳노리] 어떻습니까[어떧씀니다]
돌아가고 싶어요 [도라가고 시퍼요]
눈사람 [눈싸람]
3.문법
1). 어느+名詞
----冠詞어느 用于名詞前,要求同類事物中加以確指是哪個(gè),相當(dāng)于
漢語的“哪、哪個(gè)”
ㄱ: 어느 백화점에 가요? ----ㄴ: 롯데 백화점에 가요
2). “ㅂ”的不規(guī)則音變:
----詞干以收音 “ㅂ” 結(jié)尾的大部分形容詞及個(gè)別動(dòng)詞后連接元
音時(shí) “ㅂ”變?yōu)?“우” 或“오”
돕다----도와요.---도왔어요----도와 주세요----도우세요
곱다----고와요----고왔어요----고우세요
춥다----추워요.
*불규칙활용 어휘:
덥다/ 어렵다/ 쉽다/ 뜨겁다/ 차갑다/ 가깝다/ 아름답다/
무겁다/ 가볍다/ 맵다
*규칙활용 어휘:
입다, 잡다, 뽑다, 씹다, 좁다,
3). ~(으)러 가다
-動(dòng)詞詞干 + (으)러 ….+地點(diǎn)에 가다(오다/다니다/
돌아가다/ 돌아오다)
- ---地點(diǎn)에 + 動(dòng)詞詞干 + (으)러 가다(오다/다니다/
돌아가다/ 돌아오다)
--接在動(dòng)詞的后面,表示動(dòng)作的目的,常與가다(오다/
다니다/돌아가다/돌아오다)
等表趨向的動(dòng)詞連用,相當(dāng)于漢語的“為了”,翻譯時(shí)
“來干…”“去干…”
注:놀다----놀러 가다 / 열다---열러 가다
보기: 공부하러 학교에 가요---학교에 공부하러 가요.
옷을 사러 백화점에 갑시다----백화점에 옷을
사러 갑시다.
. 4). ~이/ 가 (主格助詞)
----名詞/代詞 + ~이/ 가 ----做主語(主格助詞)
----在一般對(duì)話中,當(dāng)主語是第三人稱,第一次被提及時(shí),或者
對(duì)“누구, 무엇, 어디, 언제, 어느”等疑問代詞為主語的問
句進(jìn)行回答時(shí),用~이/ 가
----如果與“은/는”比較的話 ,~이/ 가強(qiáng)調(diào)主語
----“이/가”:?jiǎn)渭冏鲋髡Z,第三人稱第一次提及,回答有疑問 詞的語句,慣用形:이/가 있다/없다, 이/가 아니다.
l 보기: 第三人稱作主語時(shí),并第一次被提及時(shí)
저기 민호가 와요.
어머니가 요리를 해요.
l 보기:對(duì)“누구, 무엇, 어디, 언제, 어느”等疑問 代詞為主語 的問句進(jìn)行回答時(shí)
ㄱ: 누가 왕단씨입니까?---ㄴ: 내가 왕단입니다.
5) ~은/는 (補(bǔ)助助詞,添意助詞)(表主題)
接在名詞或代詞后,使其成為句子的主題,(被陳述說明的主題)在向別人介紹說明自己或他人他物時(shí)使用。
“은/는”與“이/가”的區(qū)別,當(dāng)再一次提到在談話中以提及的對(duì)
象,并將再作主語時(shí),“은/는”有強(qiáng)調(diào)的作用,和比較,對(duì)比的 作用。
“은/는”:介紹自己或他人,再次提及,對(duì)比強(qiáng)調(diào),大主語。
*보기: 안녕하세요,나는 진문수입니다
나는 중국사람입니다.
저기 왕단씨가 옵니다.
왕단씨는 한국말을 공부합니다.
왕단씨는 불고기는 좋아해요. 그렇지만 김치는 안 좋아해요.
문수씨는 안경을 썼어요. (對(duì)比 比較) 그렇지만 왕단 씨는 안경을 안 썼어요.
1).( ) 왕단 씨입니까?
2).한국말 재미있습니다. 한국 생활 재미있습니다.
3)자동차 있습니까?
4)바나나 쌉니다. 배 비쌉니다.
수업목적:
1.사상목적:계절과 날씨에 관한 회화를 통해 한국언어 문화를 체험시킨다
2.지식목적:계절과 날씨에 상관된 단어와 문법을 장악하게 하는 것
3.능력목적:한국어로 계절과 날씨에 대해 표현할수 있게 하는 것
수업중점:문법
수업난점:“이/가” 와 “은/는”구별
수업준비:
수업도구:교과서
수업시간:6
수업과정:
봄이 되면 위해의 날씨가 어때요?
여러분은 무슨 계절을 제일 좋아해요?
1. 단어
1).개나리꽃: 진달래꽃/ 벚꽃/ 장미꽃/ 연꽃/ 살구꽃/ 국화/ 무궁화/ 카네이션/ 튤립/--이(가) 피다
2).계절: 봄 (따뜻하다)/ 여름 (무덥다/ 덥다) / 가을 (선선하다/ 서늘하다/ 시원하다) / 겨울(춥다/ 눈사람을 만들다)
3).놀이: 놀다/게임
4).눈: 눈이 오다/ 비가 오다.
5).돌아가다: 回去/ 去世的敬語。/돌아오다.
6).창밖: 창문밖
7).푸르다: 푸른 색
8).하와이
9).아름답다: 아름다워요/ 곱다/ 고와요.(고운소녀)/ 예쁘다/ 예뻐요.
10).하늘: 천/ 천지(天池)/ 천사/ 땅/ 지/ 천지(天地)
보충단어:
1).가깝다: 가까워요./ 멀다
2).관광화사: 旅行社,觀光會(huì)社。/ 여행사
3).기후: 날씨/기온
4).내장산: 지리산/ 한라산
5).단풍: 丹楓。단풍이 들다(楓葉紅了)
6).대만: 해만(海灣)
7).대학원생: 재학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8).돕다: 도와 주세요.
9).뜨겁다: 물이 뜨겁다
10).설렁탕: 삼계탕
11).쉽다: 어렵다/ 쉬다
12).약속: 데이트
13).인형: 원숭이 인형/ 곰인형/ 토끼인형
14).가볍다: 무겁다/ 어깨가 무겁다(肩上的擔(dān)子重)/ 입이 가볍다(長(zhǎng)舌)
15).기분이 좋다: 기분이 나쁘다
16).높다: 낮다(低)/ 낮(白天)
17).담배를 피우다: 꽃이 피다/ 담배를 끊다(戒煙)
18).똑똑하다: [똑또카다]/ 총명하다
19).바람이 불다: 바람이 세다
20)박수: 박수를 치다
21).차갑다: =차다/ 얼음이 차갑다(차다)/ 눈초리가 차갑다/ 방바닥이 차다./ 물이 차다/ 날씨가 차다/찬물—더운물
음식이 식다(涼)/ 열기가 식다(熱氣減退)/ 애정이 식다(愛情冷卻)
22).키가 크다: 키가 작다
23).지하철역: [지하철력]
2.발음:
한국의 [한구게] 좋아요 [조아요]
벚꽃놀이[벋꼳노리] 어떻습니까[어떧씀니다]
돌아가고 싶어요 [도라가고 시퍼요]
눈사람 [눈싸람]
3.문법
1). 어느+名詞
----冠詞어느 用于名詞前,要求同類事物中加以確指是哪個(gè),相當(dāng)于
漢語的“哪、哪個(gè)”
ㄱ: 어느 백화점에 가요? ----ㄴ: 롯데 백화점에 가요
2). “ㅂ”的不規(guī)則音變:
----詞干以收音 “ㅂ” 結(jié)尾的大部分形容詞及個(gè)別動(dòng)詞后連接元
音時(shí) “ㅂ”變?yōu)?“우” 或“오”
돕다----도와요.---도왔어요----도와 주세요----도우세요
곱다----고와요----고왔어요----고우세요
춥다----추워요.
*불규칙활용 어휘:
덥다/ 어렵다/ 쉽다/ 뜨겁다/ 차갑다/ 가깝다/ 아름답다/
무겁다/ 가볍다/ 맵다
*규칙활용 어휘:
입다, 잡다, 뽑다, 씹다, 좁다,
3). ~(으)러 가다
-動(dòng)詞詞干 + (으)러 ….+地點(diǎn)에 가다(오다/다니다/
돌아가다/ 돌아오다)
- ---地點(diǎn)에 + 動(dòng)詞詞干 + (으)러 가다(오다/다니다/
돌아가다/ 돌아오다)
--接在動(dòng)詞的后面,表示動(dòng)作的目的,常與가다(오다/
다니다/돌아가다/돌아오다)
等表趨向的動(dòng)詞連用,相當(dāng)于漢語的“為了”,翻譯時(shí)
“來干…”“去干…”
注:놀다----놀러 가다 / 열다---열러 가다
보기: 공부하러 학교에 가요---학교에 공부하러 가요.
옷을 사러 백화점에 갑시다----백화점에 옷을
사러 갑시다.
. 4). ~이/ 가 (主格助詞)
----名詞/代詞 + ~이/ 가 ----做主語(主格助詞)
----在一般對(duì)話中,當(dāng)主語是第三人稱,第一次被提及時(shí),或者
對(duì)“누구, 무엇, 어디, 언제, 어느”等疑問代詞為主語的問
句進(jìn)行回答時(shí),用~이/ 가
----如果與“은/는”比較的話 ,~이/ 가強(qiáng)調(diào)主語
----“이/가”:?jiǎn)渭冏鲋髡Z,第三人稱第一次提及,回答有疑問 詞的語句,慣用形:이/가 있다/없다, 이/가 아니다.
l 보기: 第三人稱作主語時(shí),并第一次被提及時(shí)
저기 민호가 와요.
어머니가 요리를 해요.
l 보기:對(duì)“누구, 무엇, 어디, 언제, 어느”等疑問 代詞為主語 的問句進(jìn)行回答時(shí)
ㄱ: 누가 왕단씨입니까?---ㄴ: 내가 왕단입니다.
5) ~은/는 (補(bǔ)助助詞,添意助詞)(表主題)
接在名詞或代詞后,使其成為句子的主題,(被陳述說明的主題)在向別人介紹說明自己或他人他物時(shí)使用。
“은/는”與“이/가”的區(qū)別,當(dāng)再一次提到在談話中以提及的對(duì)
象,并將再作主語時(shí),“은/는”有強(qiáng)調(diào)的作用,和比較,對(duì)比的 作用。
“은/는”:介紹自己或他人,再次提及,對(duì)比強(qiáng)調(diào),大主語。
*보기: 안녕하세요,나는 진문수입니다
나는 중국사람입니다.
저기 왕단씨가 옵니다.
왕단씨는 한국말을 공부합니다.
왕단씨는 불고기는 좋아해요. 그렇지만 김치는 안 좋아해요.
문수씨는 안경을 썼어요. (對(duì)比 比較) 그렇지만 왕단 씨는 안경을 안 썼어요.
1).( ) 왕단 씨입니까?
2).한국말 재미있습니다. 한국 생활 재미있습니다.
3)자동차 있습니까?
4)바나나 쌉니다. 배 비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