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동:한국 사람은 정말 성격이 급한 것 같아요.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들이 제일 먼저 배우는 한국말이 "빨리 빨리"라고 하더군요.
준호:후후,맞아요.그런 면이 많이 있죠.조금 느긋하고 여유 있게 살아도 될 텐데 모든 일을 너무 빨리 하려고 하는 것 같아요.
왕동:오랜 옛날부터 그랬나요?
준호:꼭 그런 것 같지는 않아요.조선 시대의 양반들의 문화를 보면 느리고 여유 있게 풍류룰 즐기는 모습이 오히려 주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으니까요.
왕동:그러면 왜 르렇게 성격이 급해졌을 까요?
준호:글쎄요,자원이 부족하고 국토가 넓지 않는 한국에서의 생존 방식이 아닐까 싶어요. 넉넉한 자원을 가진 나라글과 경쟁하려면 사람들이 부지런히 움직이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으니까요.
왕동:듣고 보니 그렇군요.이해가 갑니다.
준호:빨리 서두르다가 일을 대충 하는 바람에 부실한 격과를 낳는 페단이 있기도 하죠.그렇지만 같은 시간에 많는 일을 해내는 장점도 있다고 봐요.물론 일만 열심히 하고 삶을 줄길 줄 모른다면 바람직하지 않겠죠.
漢語翻譯:
王東:韓國人的性格好像真的很急,聽說在韓國工作過得外國人最先學到是韓國語的“빨리 빨리(快點快點)”
俊浩:呵呵,沒錯。韓國人是有些這樣。其實稍微活的輕松一點也行,但韓國人好像做任何事都想快一點。
王東:從很久以前起就是這樣的嗎?
俊浩:也不一定是這樣的。因為從朝鮮時期的兩班階層文化來看,享受舒緩而閑適的情趣可以說是當時文化的主流。
王東:那韓國人的性格怎么會變得這么急了呢?
俊浩:怎么說呢?這可能是在資源不足,國土狹小的韓國生活的一種方式吧。要想和那些資源豐富的國家競爭的話,好像除了勤奮工作之外,似乎也沒有什么其他的方法了。
王東:聽你這么一說還真是這么回事,這回我可理解了。
俊浩:著急做事就難免會草草行事,這樣就會產生不良的后果的弊端。但同時也有在相同的時間內干出更多的事情的好處。當然了,只要努力工作而不懂的享受生活的態(tài)度而不可取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