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語閱讀:“3”和韓國人的生活時間:2012-9-13 11:21:00 來源:外語學習網 作者:Suo
-
"3"과 한국인의 삶
“3”和韓國人的生活
"3"이란 숫자는 예부터 한국인들이 특별히 애착을 가지는 숫자이다. 천、지、인의 삼재를 기본으로 음약의 조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이 숫자는 오랜옛날부터 길한 수, 또는 신성한 수라 하여 한국 민족의 생활과 철학에 깊숙이 배어 있다. 유별나게 3을 선호한 한국 민족은 신화시대로부터 역사시대를 거쳐 오늘 의 과학문병시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민족의 가슴에서 숨쉬고 있다.
“3”是韓國人從古至今非常喜愛的一個數(shù)字,集天、地、人三位一體,陰陽調和而成。“3”自古以來被韓國人看做是吉利、神圣的數(shù)字,韓國人的生活息息相關。無論是神話時代、5千年的歷史,還是今天這樣科學文明發(fā)達的年代,“3”一直和全體韓國人們同呼吸,共命運。
단군신화에서 환인,환웅, 단군의 삼위일체적 존제는 곧 완성된 하나를 상징한다. 불교에서도 불, 법, 승이 겟이 모일 때 비로소 불교가 성립되며, 민속에서 는 촐산후 금줄을 칠 때 아들의 경우 교추와 숲을 각각 세 개 씩 매달았다. 또 사람이 죽으면 삼 년동안 집안에 머물다가 승천 한다는 믿음에서 3년상을 치루었다. 이처럼 3은 관혼상제를 비롯하여 한국의 모든 일상 생활과 속담, 격언 등에서 끊임없이 친근하게 사용되어 왔다.
檀君神話中桓仁、桓雄、檀君就是三位一體的例子,佛教中,佛、法、僧三者合一才能成為佛教。同樣在韓國的傳統(tǒng)風俗中,孩子出生后,如果是男孩,就要掛上三個辣椒和三棵艾草。還有,韓國人迷信說,人過世三年以后才會升天,因此要為死者守喪三年。綜上所述,“3”不僅在韓國的冠昏喪祭等傳統(tǒng)儀禮中有著重要的意義,而且和韓國人的日常生活也息息相關,在韓國的俗語、格言中更是屢見不鮮。en .examw.CoM
-
"3"과 한국인의 삶
“3”和韓國人的生活
"3"이란 숫자는 예부터 한국인들이 특별히 애착을 가지는 숫자이다. 천、지、인의 삼재를 기본으로 음약의 조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이 숫자는 오랜옛날부터 길한 수, 또는 신성한 수라 하여 한국 민족의 생활과 철학에 깊숙이 배어 있다. 유별나게 3을 선호한 한국 민족은 신화시대로부터 역사시대를 거쳐 오늘 의 과학문병시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민족의 가슴에서 숨쉬고 있다.
“3”是韓國人從古至今非常喜愛的一個數(shù)字,集天、地、人三位一體,陰陽調和而成。“3”自古以來被韓國人看做是吉利、神圣的數(shù)字,韓國人的生活息息相關。無論是神話時代、5千年的歷史,還是今天這樣科學文明發(fā)達的年代,“3”一直和全體韓國人們同呼吸,共命運。
단군신화에서 환인,환웅, 단군의 삼위일체적 존제는 곧 완성된 하나를 상징한다. 불교에서도 불, 법, 승이 겟이 모일 때 비로소 불교가 성립되며, 민속에서 는 촐산후 금줄을 칠 때 아들의 경우 교추와 숲을 각각 세 개 씩 매달았다. 또 사람이 죽으면 삼 년동안 집안에 머물다가 승천 한다는 믿음에서 3년상을 치루었다. 이처럼 3은 관혼상제를 비롯하여 한국의 모든 일상 생활과 속담, 격언 등에서 끊임없이 친근하게 사용되어 왔다.
檀君神話中桓仁、桓雄、檀君就是三位一體的例子,佛教中,佛、法、僧三者合一才能成為佛教。同樣在韓國的傳統(tǒng)風俗中,孩子出生后,如果是男孩,就要掛上三個辣椒和三棵艾草。還有,韓國人迷信說,人過世三年以后才會升天,因此要為死者守喪三年。綜上所述,“3”不僅在韓國的冠昏喪祭等傳統(tǒng)儀禮中有著重要的意義,而且和韓國人的日常生活也息息相關,在韓國的俗語、格言中更是屢見不鮮。en .examw.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