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語(yǔ)詞匯學(xué)習(xí):標(biāo)準(zhǔn)韓國(guó)語(yǔ)教案2-15

字號(hào):

제15과 이화원 教學(xué)案例
    수업목적:
    1.사상목적:
    2.지식목적:과문에 나오는 관련 조사와 문형을 장악시키고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3.능력목적:이화원에 대한 지식을 주어 다른 사람들 앞에서 한국말로 유창하게 이화원을 소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려는 데 있다.
    수업중점:이화원 소개에 필요한 지식과 단어, 문형들을 장악시키는 수업후 기
    교수목적 교대하고 제14과 단어와 과문암송검사
    1.새 단어 공부
    곤명호: 위산호 태호 서호 동정호
    광장: 천안문광장
    금나라: 송나라 청나라 명나라 당나라 수나라는 기원 581년에 세워졌어요.
    4분의 3, 2분의 1
    세워지다: 우리나라는 1949년 10월 1일에 세워졌어요.
    약; 약 나흘정도 걸려요. 대략
    이화원: 곤명호와 만수산으로 이루어졌어요. 자희태후가 이화원을 짓기 위하여 많은 인력과 자금을 썼어요.
    인공: 인공산 인공호수 인공위성
    황실정원
    개방되다: 1914년에 개방되다
    거리: 사랑의 거리 거리를 구경하다 남경의 거리 산길
    기념품: 아버지는 매번 출장을 갔다올 때마다 저에게 당지의 기념품을 사주어요.
    낙제하다: 지난해에 낙제하다
    멀미가 나다: 배멀미 차멀미가 심하다 멀미약
    상품: 상품교환 상품경제
    서태후 자희태후 동태후
    싫증이 나다: 너무 오래 하니까 싫증이 난다.
    일반인: 일반인의 생활
    취하다: 경취에 도취되다 술에 취하다
    음악에 취하다
    휴일: 휴일이라도 출근을 해야 합니다.
    2. 기본문형
    1)하나도 없다/안/못/모르다
    (1)의미-완전한 부정을 나타낸다.
    (2)사용-’하나도’에 ’없다, 안, 못, 모르다’ 등이 붙어 사용된다.
    (3)보기-ㄱ: 저 영화가 재미있어요?
    ㄴ: 저 영화는 하나도 재미없어요. 그러니까 보지 마세요.
    2)-면 되다
    (1)의미-동사, 형용사 어간에 붙어서 동의나 허락을 나타낸다.
    (2)보기-ㄱ: 우체국이 어디에 있습니까?
    ㄴ: 왼쪽으로 가면 됩니다.
    3)-ㄹ 만하다
    (1)의미-동사 어간에 붙어 그럴 가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2)보기-ㄱ: 세민 씨한테 이야기해도 돼요?
    ㄴ: 네, 세민 씨는 믿을 만한 사람이니까 괜찮아요.
    ㄱ: 이 집 음식이 어떻습니까?
    ㄴ: 네, 먹을 만합니다.
    4)-아/어도
    (1)의미-동사의 어간에 붙어서 양보를 나타낸다.
    (2)보기-ㄱ: 내일 비가 올 거래요.
    ㄴ: 비가 와도 여행을 갈 겁니다.
    5)-거든요
    (1)의미-동사, 형용사 어간- 사건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낸다.
    (2)보기-ㄱ: 왜 또 늦게 왔어요?
    ㄴ: 어제 술을 마셔서 늦게 잤거든요.
    ㄱ: 홍단 씨는 왜 등산을 안 갔어요?
    ㄴ: 다음 주에 시험이 있거든요.
    1) 연습문제
    2) 기본문형 2, 3, 4로 짧은 글 짓기
    (1)만수산에서 보는 경치는 어떻습니까?
    (2)홍단 씨는 북경에서 가장 볼 만한 곳이 어디라고 말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