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語(yǔ)綜合學(xué)習(xí):與教誨有關(guān)的韓國(guó)諺語(yǔ)(A)

字號(hào):

팔십 노인도 세 살 먹은 아이한테 배울 것이 있다
    어린아이가 하는 말이라도 그것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는 말
    귀 소문 말고 눈 소문 하라
    = 귀장사 하지 말고 눈장사 하라
    실지로 보고 확인한 것이 아니면 말하지 말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석수장이 눈깜작이부터 배운다
    1 돌을 쪼는 석수장이가 돌가루가 눈에 들어갈까 봐 눈을 깜작거리는 것부터 배운다는 뜻으로,
    일의 내용보다도 형식부터 본뜨려 드는 것을 비꼬는 말.
    2 처음에는 쉽고 낮은 기술부터 배우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초학 훈장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훈장 곧 선생의 일이 매우 어렵고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한 자식 매 한 대 더 때리고 미운 자식 떡 한 개 더 준다
    아이들 버릇을 잘 가르치기 위해서는 아이에게 당장 좋게만 해 주는 것이
    오히려 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여운 애한테는 매채를 주고 미운 애한테는 엿을 준다.
    마소 새끼는 시골로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사람은 도회지에서 자라고 배워야 견문이 넓어진다는 말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
    1 나중에 생긴 것이 먼저 것보다 훨씬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후배가 선배보다 훌륭하게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솥은 부엌에 걸고 절구는 헛간에 놓아라 한다
    솥과 절구 놓을 자리는 일정해서 누구나 다 알고 있는데 그것을 두고 이래라저래라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일을 특별히 자기만 아는 것인 양 똑똑한 체하며
    남에게 가르치려 듦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소 궁둥이에다 꼴을 던진다
    1 아무리 힘쓰고 밑천을 들여도 보람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몹시 둔하여 깨닫지 못할 사람에게는 아무리 교육을 시켜도 효능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매도 먼저 맞는 놈이 낫다
    이왕 겪어야 할 일이라면 아무리 어렵고 괴롭더라도
    먼저 치르는 편이 낫다는 말
    뒤에 볼 나무는 그루를 돋우어라
    앞으로 희망을 걸 대상에 대해서는
    뒷일을 미리부터 깊이 생각하여 보살피라는 말
    한 노래로 긴 밤 새울까 1 한 가지 일로만 허송세월하는 것을 나무라는 말.
    어떤 일을 그만둘 때가 되면 깨끗이 그만두고 새 일을 시작하여야 한다는 말.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자기의 능력 밖의 불가능한 일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욕심를 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
    미련은 먼저 나고 슬기는 나중 난다
    미련이 먼저 생기고 그 다음에 슬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무슨 일을 잘못 생각하거나 못쓰게 그르쳐 놓은 후에야
    이랬더라면 좋았을 것을 저랬더라면 좋았을 것을 하고 궁리한다는 말
    물이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
    덕이 높고 생각이 깊은 사람은
    겉으로 떠벌리고 잘난 체하거나 뽐내지 않는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