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학 200명 기계-화공 50명
서울대 경영학과가 국내 5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학과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학별로는 서울대 출신 CEO가 가장 많았다.
경영 전문 월간지인 월간 CEO가 국내 500대 기업(매출액순) CEO 511명의 출신 대학과 전공을 분석해 27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중 171명(33.5%)이 서울대를 나왔다. 다음은 연세대 73명(14.3%), 고려대 61명(11.9%), 한양대 36명(7.0%), 성균관대 23명(4.5%) 등의 순이었다. 지방대 중에서는 부산대가 12명(2.3%)으로 가장 많았고 동아대와 영남대도 각각 7명(1.4%)을 배출했다.
S산전 김정만 부회장, SK 신헌철 사장은 부산대를 나왔고 넥센타이어 강병중 회장은 동아대 출신이다. 영남대 출신으로는 삼성테스코 이승한 사장과 코오롱건설 원현수 대표 등이 있다.
전공별로는 경영학과 출신이 149명(29.2%)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경제학 51명(10.0%), 법학 34명(6.7%), 기계공학과 화학공학이 각각 25명(4.9%)이었다. 단일학과로는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 32명(6.3%)으로 가장 많았다.
이수화학 김상범 회장, KT 남중수 사장, LG필립스LCD 권영수 사장, 대우자동차판매 이동호 사장, 현대상선 노정익 사장 등이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다. 연세대 경영학과 출신은 아세아시멘트 이병무 회장과 태평양 서경배 사장 등 31명(6.1%)으로 서울대 경영학과를 바짝 추격했다. 고려대 경영학과도 GS그룹 허창수 회장과 코오롱그룹 이웅열 회장 등 28명(5.5%)을 배출했다. 이 밖에 서울대 법학과가 17명(3.3%)의 CEO를 배출했고, 서울대 경제학과는 14명(2.2%)의 CEO를 탄생시켰다.
외국 대학 출신 중에서는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된 효성그룹 조석래 회장의 모교인 일본 와세다대 출신이 4명(0.8%)으로 가장 많았다.
據(jù)一項調查顯示,首爾大學經營專業(yè)是培育出國內500大企業(yè)首席執(zhí)行官(CEO)最多的專業(yè)。另外,按照大學分類,畢業(yè)于首爾大學的CEO最多。
經營專門月刊雜志《月刊CEO》對國內500大企業(yè)(銷售額順序)的511名CEO所畢業(yè)的大學和專業(yè)進行分析后,于27日公開了結果,據(jù)這一結果顯示,調查對象中有171名(33.5%)CEO畢業(yè)于首爾大學。其次是延世大學73名(14.3%),高麗大學61名(11.9%),漢陽大學36名(7.0%),成均館大學23名(4.5%)等。在地方大學中,畢業(yè)于釜山大學的CEO人數(shù)最多,達到12名,東亞大學和嶺南大學分別培養(yǎng)出7名(1.4%)CEO。
LS產電副總裁金正萬,SK(株)公司總經理申憲澈都是畢業(yè)于釜山大學,而Nexen Tire總裁姜丙中畢業(yè)于東亞大學。畢業(yè)于嶺南大學的有三星Tesco總經理李承漢和Kolon建設代表元賢洙等。
按照專業(yè)分類,攻讀經營專業(yè)的人最多,達到149名(29.2%)。其次是經營學51名(10.0%)、法學34名(6.7%)、機械工程和化學工程學分別有25名(4.9%)。按照單科專業(yè)分類,畢業(yè)于首爾大學經營專業(yè)的人最多,達到32名(6.3%)。
梨樹化學總裁金相范、KT總經理南重秀、LG飛利浦總經理權映壽、大宇汽車銷售總經理李東虎、現(xiàn)代商船總經理盧政翼等人都是畢業(yè)于首爾大學經營專業(yè)。畢業(yè)于延世大學經營專業(yè)的有韓國亞細亞水泥總裁李秉茂和太平洋總經理徐慶培等31名(6.1%)人士。其人數(shù)緊隨首爾大學經營專業(yè)。高麗大學也培育出GS集團總裁許昌秀和Kolon集團總裁李雄烈等28名(5.5%)CEO。另外,首爾大學法學專業(yè)還培育出17名(3.3%)CEO,首爾大學經營專業(yè)培育出14名(2.2%) CEO。
在畢業(yè)于外國大學的CEO中,畢業(yè)于最近成為全國經濟人聯(lián)合會會長的曉星集團總裁趙錫來的母?!毡驹绲咎锎髮W的CEO最多,共有4名(0.8%)。
서울대 경영학과가 국내 5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학과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학별로는 서울대 출신 CEO가 가장 많았다.
경영 전문 월간지인 월간 CEO가 국내 500대 기업(매출액순) CEO 511명의 출신 대학과 전공을 분석해 27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중 171명(33.5%)이 서울대를 나왔다. 다음은 연세대 73명(14.3%), 고려대 61명(11.9%), 한양대 36명(7.0%), 성균관대 23명(4.5%) 등의 순이었다. 지방대 중에서는 부산대가 12명(2.3%)으로 가장 많았고 동아대와 영남대도 각각 7명(1.4%)을 배출했다.
S산전 김정만 부회장, SK 신헌철 사장은 부산대를 나왔고 넥센타이어 강병중 회장은 동아대 출신이다. 영남대 출신으로는 삼성테스코 이승한 사장과 코오롱건설 원현수 대표 등이 있다.
전공별로는 경영학과 출신이 149명(29.2%)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경제학 51명(10.0%), 법학 34명(6.7%), 기계공학과 화학공학이 각각 25명(4.9%)이었다. 단일학과로는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 32명(6.3%)으로 가장 많았다.
이수화학 김상범 회장, KT 남중수 사장, LG필립스LCD 권영수 사장, 대우자동차판매 이동호 사장, 현대상선 노정익 사장 등이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다. 연세대 경영학과 출신은 아세아시멘트 이병무 회장과 태평양 서경배 사장 등 31명(6.1%)으로 서울대 경영학과를 바짝 추격했다. 고려대 경영학과도 GS그룹 허창수 회장과 코오롱그룹 이웅열 회장 등 28명(5.5%)을 배출했다. 이 밖에 서울대 법학과가 17명(3.3%)의 CEO를 배출했고, 서울대 경제학과는 14명(2.2%)의 CEO를 탄생시켰다.
외국 대학 출신 중에서는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된 효성그룹 조석래 회장의 모교인 일본 와세다대 출신이 4명(0.8%)으로 가장 많았다.
據(jù)一項調查顯示,首爾大學經營專業(yè)是培育出國內500大企業(yè)首席執(zhí)行官(CEO)最多的專業(yè)。另外,按照大學分類,畢業(yè)于首爾大學的CEO最多。
經營專門月刊雜志《月刊CEO》對國內500大企業(yè)(銷售額順序)的511名CEO所畢業(yè)的大學和專業(yè)進行分析后,于27日公開了結果,據(jù)這一結果顯示,調查對象中有171名(33.5%)CEO畢業(yè)于首爾大學。其次是延世大學73名(14.3%),高麗大學61名(11.9%),漢陽大學36名(7.0%),成均館大學23名(4.5%)等。在地方大學中,畢業(yè)于釜山大學的CEO人數(shù)最多,達到12名,東亞大學和嶺南大學分別培養(yǎng)出7名(1.4%)CEO。
LS產電副總裁金正萬,SK(株)公司總經理申憲澈都是畢業(yè)于釜山大學,而Nexen Tire總裁姜丙中畢業(yè)于東亞大學。畢業(yè)于嶺南大學的有三星Tesco總經理李承漢和Kolon建設代表元賢洙等。
按照專業(yè)分類,攻讀經營專業(yè)的人最多,達到149名(29.2%)。其次是經營學51名(10.0%)、法學34名(6.7%)、機械工程和化學工程學分別有25名(4.9%)。按照單科專業(yè)分類,畢業(yè)于首爾大學經營專業(yè)的人最多,達到32名(6.3%)。
梨樹化學總裁金相范、KT總經理南重秀、LG飛利浦總經理權映壽、大宇汽車銷售總經理李東虎、現(xiàn)代商船總經理盧政翼等人都是畢業(yè)于首爾大學經營專業(yè)。畢業(yè)于延世大學經營專業(yè)的有韓國亞細亞水泥總裁李秉茂和太平洋總經理徐慶培等31名(6.1%)人士。其人數(shù)緊隨首爾大學經營專業(yè)。高麗大學也培育出GS集團總裁許昌秀和Kolon集團總裁李雄烈等28名(5.5%)CEO。另外,首爾大學法學專業(yè)還培育出17名(3.3%)CEO,首爾大學經營專業(yè)培育出14名(2.2%) CEO。
在畢業(yè)于外國大學的CEO中,畢業(yè)于最近成為全國經濟人聯(lián)合會會長的曉星集團總裁趙錫來的母?!毡驹绲咎锎髮W的CEO最多,共有4名(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