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에는 1446년(세종 28년) 음력 9월에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으로 쓰여 있다. 이를 근거로 1926년 지금 한글 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와 신민사가 당시 음력 9월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29일(양력 11월 4일)에 훈민정음 반포 여덟 회갑(480년)를 기념하는 행사를 가지고, 이 날을 ‘가갸글’이라는 당시 한글의 이름에 따라 제1회 ‘가갸날’으로 불렀다. 국어학자인 주시경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어준 뒤인 1928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0년에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르면 훈민정음은 9월 상순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는데, 1446년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된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제정하고 공휴일로 만들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훈민정음이 쓰인 1443년(세종 25년) 음력 12월을 기준으로 해서 1월 15일을 조선글날로 제정했다.
《世宗實錄》記載1446年(世宗26年)陰歷9月世宗大王發(fā)布了訓民正音。據(jù)此,1926年,現(xiàn)在的韓語協(xié)會前身朝鮮語研究會和新民社在當年的陰歷9月的最后一天即陰歷9月29日(陽歷11月4日)紀念了訓民正音發(fā)布480周年, 并稱這一天為第一屆“가갸글”。 國語學者周時經(jīng)取名“한글”之后的1928年開始更名為“한글날”。
1940年訓民正音解例版本(上圖)被發(fā)現(xiàn),里面記載訓民正音是1446年9月上旬發(fā)布。 1446年9月上旬的最后一天9月10日換算成陽歷則是10月9日。1945年光復之后韓國政府將10月9日定為“韓國語日”并成為公休日。 目前,韓國語日依然是節(jié)日,但不休息。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以訓民正音開始使用的1443年(世宗25年)陰歷12月為基準,將1月15日定為“조선글날(朝鮮文字日)”